재테크 용어 PBR PER 개념과 뜻
우리가 주식 투자를 할 때는 투자하고 싶은 회사의 투자 가치성을 따져봐야 하는 일이 생깁니다.
이때 PBR과 PER에 대해서 들어 보신 적이 있으실 텐데요,
이 두 용어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고 차이점은 무엇이며, 이 지표를 어떻게 읽어야 주식 투자에서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 비교해 보려 합니다.
PER의 개념 정리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주식 가격과 주당 이익이 합성된 용어입니다. 따라서 이는 주식 가격이 주당 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익'을 중심된 관점에서 바라보는 PER 지표는 주식 시장에서 해당 기업의 주식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의 가치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척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낮은 PER은 주식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에 기업의 수익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되곤 합니다.
PBR의 개념 정리
PBR은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자로, 가격당 주당순자산을 의미합니다.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서 몇 배로 거래되는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때 말하는 '주당순자산'이란 자기자본에서 무형자산과 이연자산, 사회유출분(배당금, 임원상여금 등)을 합산한 총금액을 제외하여 나온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것을 의미합니다.
주당순자산을 좀 더 쉬운 용어로 풀어내면, 기업의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에 초점을 맞춰 살펴볼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에 현재 기업이 얼마만큼의 자산을 가지고 있는지 실질적으로 따져보고 싶을 때 확인하면 좋은 자료입니다.
우리가 수입이나 매출을 얘기할 때도 실질적인 이득을 따질때는 순수익이 얼마인지가 중요한 거처럼 주식 시장에서 주당순자산이 얼마인지를 따져봐야 기업이 성실한 기업인지 믿을만한 기업인지 따져 볼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PBR지표는 이러한 관점에서 주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의 개념들을 적용하여 PBR 수치를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하면, PBR이 낮을수록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PBR이 높을수록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고평가' 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정리하면,
PER과 PBR은 주식의 값어치를 바라보는 수치화된 지표라는 점이며, 각각의 개념에 따라 약간의 관점 차이가 존재합니다. PER은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라는 점에서 특징이며, PBR은 기업의 재무상태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로 자산가치에 대한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알 수 있는 정보입니다.
따라서 주식 투자를 위해 각 종목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PER과 PBR 지표를 비교해 가며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재테크 용어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드 기초 용어 ETF란 무엇인가? 비트코인 현물 ETF가 허용된다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0) | 2024.03.09 |
---|---|
사모펀드, 공모펀드, 헤지펀드 개념 정리와 비교 분석 (0) | 2024.03.08 |
ISA계좌 있으면 비과세 혜택으로 절세효과 누릴 수 있다 (0) | 2024.03.07 |
예금 vs 적금 어느 상품이 나에게 더 적합할까? (0) | 2024.03.05 |
재테크란? 용어 의미 제대로 파악하고 시작해 보세요. (0) | 202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