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용어 알아보기

경기동향지수에 대한 정의와 구분에 따른 활용 방법

달라곰 2024. 3. 11. 22:21
반응형
재테크 용어 경기동향지수 정의와 구분

경기동향지수는 언제 사용되는가

 

 

경기동향지수는 경제활동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사용되는 지표로 경제 성장률이나 고용률, 물가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경제의 상황과 전망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알려줍니다. 수치화된 통계를 바탕으로 작성된 지수이기에 산술적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비교해 보기 좋은 정보로 투자의 방향성을 잡을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비교적 단순히 경기의 변화방향만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경기의 국면과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라는 의미에서 경기확산지수(diffusion index)라고도 불립니다.

이러한 경기동향지수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경기동향지수 구분

  • 선행지수 : 쉽게 말하면 미래 예측 지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투자나 경제 발전을 예측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되는 지수로 불특정한 미래를 앞서 살펴보기 위해서는 선행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재고순환지표와 소비자기대지수가 대표적인 선행지수에 해당합니다. 
  • 동행지수 : 경제의 흐름과 동시적으로 나타내는 지수로, 현재 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수입액과 내수출하지수가 동행지수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내수출하지수 : 국내 기업이 다른 기업이나 기관과 거래하는 물건의 수출과 수입을 나타내는 지표
  • 후행지수 : 경제 상황이 지난 후 뒤따라 나타나는 지수를 의미합니다. 경제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취업자수, 소비재수입액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경제 성과에 대한 평가와 자가검증을 위해서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시기와 흐름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뉜다는 점에서 각각의 시기에 적절한 지수를 활용하는 것도 정책또는 투자에 있어 활용할 수 있는 소스로 작용합니다. 경제는 시시각각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기동향지수를 빠르게 캐치해 두는 것이 급작스러운 경기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사전에 마련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계절변화나 외부적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경제지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전략을 세워볼 수 있습니다.


경제지표 활용 방법

  • 경제 예측과 대응에 활용 : 선행지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잠재적 위기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만약 선행지수가 하락하는 추세라면, 경제가 침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를 소극적으로 가져가거나, 기업은 소비자와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볼 수 있습니다.
  • 정책 측면에 활용 : 동행지수를 통해 현재 경제 상황을 면밀히 살펴보고, 정책의 방향성을 잡아볼 수 있습니다. 동행지수가 상승세라면, 진행하고 있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추가적인 아낌없는 적극적인 지원을 동반한 성장을 도모합니다. 

 

위의 예시는 사견을 붙여 설명한 것으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하여 활용해 볼 수 있으니, 꼭 정답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경제동향지수와 관련한 기사나 정책 같은 것을 볼 기회가 생기신다면 대략적으로 위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시면 됩니다.

반응형